경제 풀어보기

재무 정보 뜯어보기 (1) : ROE,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feat. 삼성전자)

리즌레이크 2024. 12. 13. 00:57
반응형

주식 투자 전 기업의 재무제표와 실적 정보를 필수적으로 살펴보아야 하고, 

이와 관련한 용어들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많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지난 9월 6만원대였던 주가가, 11월에는 5만원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했는데, 

어제 (12/12) 는 55,900원으로 마감을 했네요. 

 

국내 대표주이기 때문에 주식 공부를 하기에 좋은 종목일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네이버 증권 정보를 하나씩 살펴보면서 용어들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네이버에서 종목을 검색하면 중반부 정도에서 기업실적분석을 볼 수 있는데요. 

매출액부터 배당성향까지 다양한 정보를 재무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 하기 전에 꼭 한번씩 짚어보아야 할 내용들인데, 

익숙한 용어들도 있지만 초보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에 대해 조금씩 살펴보고 가겠습니다.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등은 대부분 아는 단어일 것이므로,

이번 편에서는 ROE,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ROE (Return on Equity) 

  • 정의: 기업이 주주의 자본(자기자본)을 활용하여 1년 동안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계산 방법: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의미: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주주 입장에서 투자 수익률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감소 이유: 기업의 순이익 감소, 자본 증가, 부채 비중 증가, 경기 침체 등 

 

당좌비율 (Quick Ratio)

  • 정의: 기업이 보유한 당좌자산(현금, 매출채권 등 즉시 유동화 가능한 자산)으로 유동부채(1년 내 상환해야 할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계산 방법:  당좌자산 / 유동부채
  • 의미:보수적으로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을 평가합니다.일반적으로 100% 이상이면 단기 부채 상환 능력이 양호하다고 봅니다. 위의 삼성전자 기업실적분석을 보시면 당좌비율이 아주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감소 이유: 유동자산 감소, 유동부채 증가, 현금 유동성 악화(현금 관리 이슈), 매출 감소 등

 

부채비율 (Debt-to-Equity Ratio)

  • 정의: 기업의 총 부채가 자기자본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계산 방법:  총부채 / 자기자본 × 100
  • 의미:부채비율이 높으면 기업이 대출 등 타인 자본 의존하는 정도가 크다는 뜻이며, 재무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업종별로 적정 수준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0% 이하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감소 이유: 차입금 감소, 순이익 증가, 자본 증가 등 

 

유보율

  • 정의: 기업이 영업 활동과 자본 거래에서 발생한 이익 중 사외로 유출하지 않고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자금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계산 방법: (이익잉여금 + 자본잉여금) / 납입자본금 × 100%
  • 이익잉여금: 영업 활동에서 발생한 이익
  • 자본잉여금: 자본 거래에서 발생한 이익 (예: 주식발행초과금)
  • 납입자본금: 주주가 출자한 자본금
  • 의미: 유보율이 높으면 기업이 내부 자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곧 재무구조가 안정적이고 신규 투자나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금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감소 이유: 배당 증가, 순손실 발생, 자본금 증가(유상증자로 인한 납입자본금 증가 등), 자본거래 손실 등 

 

 

다음 편에서는 EPS, PER, BPS, PBR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