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풀어보기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과 오너 일가의 담보 가치 하락 방지

by 리즌레이크 2024. 11. 21.
반응형

삼성전자가 주가가 4만 원대로 하락한 상황에서 4년 5개월 만에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발표와 매입 수량 

 

지난 11월 15일 장 마감 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향후 1년간 10조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는 내용의 주가 부양책을 제시한 것인데요. 우선 내년 2월 말까지 3조원 규모 자사주를 장내 매수해 전량 소각하기로 했는데, 매입 후 소각 예정인 보통주는 5014만4628주, 우선주는 691만2036주입니다. 

 

발표 후 지난 11월 20일에 보통주 100만주, 우선주 14만주의 자사주 매매를 신청했고 실제 체결된 수량은 보통주 14만5000주, 우선주 2만300주로 신청 수량의 14.50%를 각각 매입했습니다.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배경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 배경을 3가지로 살펴보겠습니다. 

 

  1. 주가 안정 및 주주 신뢰 회복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는 반도체 업황 부진 등의 요인으로 약세를 보여왔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주식 유통량을 감소 시키고 이를 통해 주당 가치를 높이게 되므로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기 위한 조치가 됩니다. 
  2. 주주가치 제고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지분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증대시킵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주주의 이익을 고려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3. 오너 일가 담보 가치 하락 방지 
    자사주 매입은 오너 일가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의 담보 가치 희석 가능성을 낮추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오너 일가가 금융권에 삼성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는데, 주가가 낮으면 주식담보대출의 담보 비율이 하락해 금융사로부터 추가 담보 요구(마진콜*)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자사주가 소각되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어 지분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담보 가치 하락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마진콜(Margin Call) 이란?]
마진콜(Margin Call) 은 증권, 선물, 외환거래 등에서 투자자가 증거금(Margin)을 이용해 거래할 때 발생하는 경고 또는 요구를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의 계좌 가치가 거래 유지에 필요한 최소 증거금 이하로 떨어질 때 발행됩니다.

 

 

정리 및 향후 예상 

 

자사주 매입 배경 1,2 번에 대해서는 익히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지만 3번에 대해서는 일반 주주 관점보다는 오너 일가의 이익에 대한 관점이므로 이번에 새롭게 짚어보시면 좋을 내용입니다. 참고로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우리은행·하나은행·하나증권·한국투자증권 등과 삼성전자 주식을 담보로 대출 계약을 체결한 상태라고 합니다. 

 

4만 전자로 주가가 하락한 상황에서 주가 하락 방어를 위해 자사주 취득을 한 것이지만, 또 다른 배경은 삼성가 오너들의 주식담보대출 담보 가치 하락 방지인 것입니다. 

 

한편 증권가에선 회사가 주주환원 정책을 추가적으로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이틀 만에 주가가 다시 하락세에 접어든 삼성전자가 향후 어떠한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할지 주목됩니다. 

 

 

 

*조선비즈(https://biz.chosun.com/) 와 뉴스웨이(http://www.newsway.co.kr/)의 11.20 기사를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